-
인문계 고졸 취업 비결카테고리 없음 2020. 6. 22. 18:20반응형
인문계 고졸 취업 비결
오픈님들 오늘의 주제는 인문계 고졸 취업의 비결입니다.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면접 시행, 정기공채 축소 등 원래도 작았던 취업문이 점점 더 작아지고 있는데요.
게다가 최근에는 대학에 나와도, 고졸 일자리에 취직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고졸 취업자들의 자리가 없어지고 있는게 사실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고졸 취업준비자 분들을 위해서 취업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구요.
아무래도 고졸 취업자 분들이 걱정하는건 본인의 '학력' 일텐데요. 이런 학력을 대체할 수 있는 세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번째 기술/전문 자격증 따기인데요. 며칠 전에도 현장에서 쓰이는 기술과 관련하여 자격증을 취득한 고졸 취업자들이 기능사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면서 취업했다는 뉴스가 나왔었는데요. 예전만큼은 경쟁력이 없다고 해도, 요즘엔 어떤 한분야의 전문가가 점점 더 없어지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본인의 역량을 실무에서 직접 발휘할 수 있는 '자격'이 중요시 되고 있습니다.
국가 자격증은 크게 세개로 분류되는데요. 첫번째는 국가기술자격, 두번째는 국가전문자격, 마지막은 민간자격입니다. 아무래도 국가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해주고, 동시에 기술력에 대한 인정을 받을 수 있는 국가기술자격이 가장 우대 사항이 되는데요. 계열별로, 직부분야별로 필요한 자격증들을 한번에 볼 수 있으니 본인이 취업하고자 하는 기업과 연관이 있는 자격증을 취득하면 입사에 도움이 됩니다. 어떤 자격증이 도움이 되는지 실제로 알아보기 위해서는 기업명을 쳐서 최신순으로 뉴스를 보면 기업에서 최근에 어떤 사업들을 시행하고 있는지 알 수 있는데요.
그 자격증을 따두면 실제 입사 후에 역량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선호도가 높습니다. 또한 일부 기업에서는 어떤 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특정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어야 하는 경우가 있거든요. 그럴때 관련 부서에 배치될 확률도 높고 여러모로 활용도가 높아요.
기업에서 또한 자격증 우대 사항등을 강조하면서, 고졸 취업을 위한 필수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자격증을 딸 시간이나 여력이 안되거나 혹은 특별히 요구하는 자격증이 없다면 다음으로 해볼 만한 시도는 바로 자기소개서 새로고침입니다. 모든게 비대면으로 이뤄지고 있는 상황에서, 필요한 력은 더 줄어들수 밖에 없으며 이는 다시 말하면 인사 담당하는 인력이 자기소개서를 읽는 시간에 많은 시간을 투자할 수 없다는 이야기 일텐데요. 그만큼 눈에 띄는 자기소개서 작성을 통해 면접에 임할 기회를 얻어야 할 때 입니다. 누구나 다 쓸 수 있는 내용을 자기소개서에 녹히는건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게다가 대학생 취업자들도 겪었을 만한 내용을 쓰는 것도 오히려 경쟁력 없는 자기소개서로 변모해 버린다는 걸 알아야 하는데요.
고졸 취업률을 높이기 위한 자기소개서 작성법은 크게 두가지만 기억하시면 되요. 먼저 '자신'이 내세우고 싶은 장점을 분명히 알것인데요. 너무 많은 것을 보이고 싶은 마음에 욕심만 앞서서, 나는 노래도 잘하고 요리도 잘하고 심지어 축구도 잘하다고 쓴다면 누가 이 말을 모두 믿어줄까요? 가장 내세우고 싶은 단 한가지의 장점을 명확히하고, 그에 대한 에피소드들을 덤덤덤하게 풀어내야 합니다. 두번째는 '왜 이 기업에 가야하는가"를 반드시 알려줘야 한다는 건데요. 고졸 취업이 점점 더 어려워지면서 이곳저곳 많은 기업에 서류를 내겠지만 그때 마다 복사 붙여넣기 하는 게 아니라 왜 하필 이기업에 '내가'가야하는지를 알 수 있게 해줘야 해요. 예를 들어 나는 적극적인 사람인데, 얼마전에 m사에서(지원하는기업) 드론과 빅데이터를 결합한 실험을 한걸로 알고 있다. 실패보다, 아무것도 안한걸 두려워할줄 아는 사람이기에 기업과 잘 어울린다고 이야기 해준다면 많은 인사담당자들이 한번씩 더 보며 주목할 수 밖에 없어요. 때문에 자기소개서의 중요성을 간과하지 마시고, 가장많은 공을 쏟으시길 당부드려요.
저스펙자의 합격 비결(140페이지) 이어보기
저스펙자의 취업 경험 140페이지.pdf 다운받기
마지막 세번째는 경험쌓기 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경험은 스펙과 다르고, 누구나 입을 쩍벌리고 감탄할 만한 그런 경험이 아닌데요. 세계 4대 사막 종주, 63빌딩 창문 닦기 등 한눈에 봐도 눈에 띄는 경험이 아니라 오롯이 나만의 것으로 만들 수 있는 경험을 통해 느낀점이 중요한데요.
평범한 빵집 아르바이트를 하더라도, 그 과정에서 느낀 점은 모두 각양각색이니까요. 만약 A라는 고졸 취업 준비생은 아르바이트를 했다는 것만 썻고, B라는 고졸 취업 준비생은 아르바이트를 통해 어려운 고객응대를 했다는 내용까지만 썼다고 가정해볼께요. 그리고 마지막 C라는 고졸 취업 준비생은 강아지 출입과 관련하여 문제가 생겼으나, 빵을 편하게 구경하게 도와드리고 본인이 밖에서 강아지를 돌봐줬는데 이를 통해 진정으로 고객입장에서 생각하는게 뭔지 느꼈다라고 썼다고 해볼께요. A,B,C중에 어떤 사람의 자기소개서가 마음에 남으시나요?
아마도 C일텐데요. 이처럼 똑같은 경험을 하더라도 본인이 그 과정에서 어떤 걸 느꼈는지 녹여내는게 중요합니다. 경험속에서 의미 찾기라고 보시면될 것 같아요.
인문계 고졸 취업은 상대적으로 이공계 고졸 취업 준비생들보다 경쟁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수 많은 경쟁자를 뚫기 위해서는 거창한 스펙이 아니라, 나를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게 중요하니 모든 분들이 수월하게 인문계 고졸 취업 성공하시길 바랍니다.반응형